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ive beeline 에러
- mac hadoop 설정
- 자소서 시간 줄이기
- 이더리움
- hive beeline
- mac hadoop 3
- 자소서 빨리 쓰는 법
- 도커 교과서
- mac hadoop 설치
-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10000
- hadoop safe mode leave
-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 hive (state=08S01
- 자소서 너무 오래 걸림
- code=0)
- hive beeline 설정
- 기업 조사 빨리 하는 법
- mac hive
- Could not open client transport with JDBC Uri: jdbc:hive2://localhost:10000
- 이더리움 #ethereum
- 백준 18428
- 카카오 자물쇠와 열쇠
- hive beeline 실행
- mac hive 3
- hadoop safe mode
- Resources are low on NN
- 카카오 2020 코딩테스트
- 자소서 빨리
- mac hadoop
- Safe mode is ON
- 카카오 2020 코테
- Today
- Total
A seeker after truth
10주차 필기 - transport layer(2) 본문
Transport layer에서 쓰는 소켓 프로그래밍.
소켓 = ip address + udp/tcp port no <- 이게 소켓 프로그래밍
Tcp/ip 기반. 요청 받아주는 쪽이 소켓 서버, 하는 쪽은 소켓 클라이언트.
소켓 프로그래밍: 자기가 알아서 속도 조절 하다보니 자기 마음대로 data rate를 유지할 수 없음
11: 그래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QUIC. QUIC's main goal is to improve perceived performance of connection-oriented web applications that are currently using TCP
It does this by establishing a number of multiplexed connections between two endpoints over User Datagram Protocol (UDP). 웹 서버에서 정보를 갖고 올 땐 tcp를 사용하는데, 퀵은 udp를 사용하자는 것이 원칙.
This works hand-in-hand with HTTP/2's multiplexed connections, allowing multiple streams of data to reach all the endpoints independently.
In contrast, HTTP hosted on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can be blocked if any of the multiplexed data streams has an error.
웹 브라우저가 요청하면 요청한 순서에 맞춰 보내야 한다. 얜 udp를 집어넣으면서 멀티플렉싱 도입. 그러면 tcp의 문제를 많이 해소할 수 있다. 문제점은 에러 검출 및 복구라는 것에 문제가 있다. Quic은 커넥션이 만드는 멀티플렉싱…
http는 그렇게 간단하게 연결 설정을 하지 않는다. 우리가 기본적으로 tcp를 사용하긴 하지만, 보안을 위한 추가적인 연결 과정을 거친다. 보안에 대한 연결도 한다. 2개를 퉁칠 수 있는…
17: 퀵의 에러 검출. 걍 한번 읽어볼 것. 이거 이전 슬라이드들도 아예 안 읽었는데 한번씩은 볼 것
퀵 파트는 녹음 들어볼 것 왜냐면 도대체 어디를 얼마나 했는지 감이 안잡혀서.
미디어 전송 어플리케이션 짤 때 QUIC이 많이 쓰이고 있다.
http말고 급성장하고 있는. 이젠… tcp udp quic 아무거나 상관없는 체제로 가고 있다.
내가 넽웍을 전공하지 않았는데 그런 걸 짜는 방법은 두가지
1. 제로 MQ
플밍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래빗 메시지 큐.
네트워크 서비스는 1:1로 주고받는 것을 그동안은 많이 짰다.
그런데 카톡, 방송처럼 한 명이 보내면 여러 명이 받는, 듣는 그런 1: n
그러면 소켓 프로그래밍은 1:n 으로 하려면 그걸 일일이 짜야 한다
그래서 만들어진 애들이다. 희한하고 좋은 기능이 많다. 그래서
제로 메시지 큐를 이용하면 짤 수 있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을 이런 것이라고 가정했을 때, 33쪽은 2개의 정보를 한 곳으로 보내는 코드다.
For 문을 돌려서 여럿을 가지고 오거나 여러 명을 받을 수 있는 코드도 작성 가능하다.
제로 메시지 큐는 최근에 책이 많이 나와 있다
35: 도커는 클라우드 컴퓨팅. 여기선 제로 메시지 큐로 전송한다. 졸업하기 전에 이걸로 반드시 해보기.
래빗 메시지 큐: 이건 서버를 운용할 일이 있어야만…
이미 동작하는 애들끼리만 통신을 할 것이면 제로 메시지 큐.
서로 다른 소웨끼리 통신하게 하는 데에도 제로 메시지 큐 사용.
큰 회사를 가게 되면 서버를 피할 수 없을 것. 그리고 아직 전통적인 방식으로 많이 프로그래밍 한다. 예전엔 하웨 다룰 때 씨플플을 썼다면 이젠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주로 쓴다.
'수업 필기 > 컴퓨터 네트워크(19-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주차 필기 - cloud computing (0) | 2019.10.11 |
---|---|
11주차 필기 - http (0) | 2019.10.11 |
9주차 필기 - transport layer(1) (0) | 2019.10.11 |
7주차 필기 (0) | 2019.10.11 |
6주차 필기 (0) | 2019.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