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업 조사 빨리 하는 법
- mac hive 3
- hadoop safe mode leave
- hive beeline
- mac hadoop 설정
- Could not open client transport with JDBC Uri: jdbc:hive2://localhost:10000
- 백준 18428
- hive beeline 설정
- mac hadoop
- hive beeline 실행
- mac hadoop 3
- 자소서 빨리 쓰는 법
- 도커 교과서
- 자소서 시간 줄이기
- 자소서 너무 오래 걸림
- code=0)
- hive beeline 에러
-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10000
-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 hive (state=08S01
- 이더리움 #ethereum
- 카카오 2020 코테
- 카카오 자물쇠와 열쇠
- 카카오 2020 코딩테스트
- hadoop safe mode
- 자소서 빨리
- mac hive
- mac hadoop 설치
- 이더리움
- Safe mode is ON
- Resources are low on NN
- Today
- Total
목록Projects (6)
A seeker after truth
모델링의 정의모델링의 정의는 영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대한 시스템 구조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형상화하는 과정임개념적 모델링을 거쳐 식별한 것을 기호 등을 통해 추상화하여 표현, 논리적 모델링을 하고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해 추상화된 모델을 구체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물리적 모델링이라고 함 식별자 상속집합 간의 베타 관계를 해소하고 두 집합을 통합 테이블 형태로 설계한 경우 개인 개발 생산성이 증대되고 성능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음개인 고객 속성과 법인 고객 속성이 같은 테이블에 혼합되어 존재함으로 속성의 의미가 불분명해지고, not null 제약 조건을 반영할 수 없어 데이터 무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데이터 정합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응용 프로그램에서 업무 규칙을 추가..
- 면수는 그냥 물이랑 마찬가진데 미리 전처리할걸 후회됨...- 한 컵을 1C 로 표현한 것도 발견. 국자'란 단위도 있음. 또 밥 한 '공기' 도. tb란 단위도. ea/EA 도 있음- 파프리카 "각각 1/2개씩" 이런거 표현 어케하나 싶음- "야채 절임물" 이것도 판매하는 재료 아닌데 어쩌냐- 당근 단위로 '덩이'도 있다.. 심지어 3/1 덩이라고 분수 잘못씀ㅎㅎ;;;- 아래와 같은 '혼합장' 재료로 인식하면.. 없는 재료라서...ㅠㅠㅠㅠ콩나물 300g 끓는물에 3분데쳐 냉장고에서 차게 식힌다.혼합장 1/2T, 소금 1/2t, 깨소금 1T, 참기름 1T, 다진대파 2T넣고 무친다.시금치나물시금치 300g 데쳐 물기 꼭짜주고,*혼합장 1/2T, 소금 1/2t, 깨소금 1T, 참기름 1T넣고 무쳐준다.*..
크리에이트 리퀘스트 코드에 photoUrl(url) 있는거 이해 안됨. 뭐지 진짜.. 포스트 객체랑 관련있나 오히려..? 아니 이게 빌더 패턴 원리상 가능한 일인지 그게 잘… => 해결. post 객체랑 관련됨… 일단 내가 코드는 어케 작성할지 여러 개의 코드를 보고 어느정도 감을 잡았다. 궁금한건 이걸 어느 파일/메서드에 넣느냐, 메서드를 따로 만들면 어디에 만드느냐, 파일을 따로 만들면 무슨 파일을 어디에 만드느냐. 일단 코드를 보니 서비스는 아니야. 서비스는 리퀘스트를 받고, post 객체 하나 만들고, 이걸 레포에다가 저장하는 역할 뿐임. PostCreateRequest는 엔티티를 만들 뿐이고… 컨트롤러는 그냥 응답 코드를 보낸다. 그러므로 아니다… 가장 가능성 있어 보이는 건 서비스 폴더 밑에 ..

리눅스의 nmap이란 것을 이용해 시도.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nmap https://zetawiki.com/wiki/ERROR_2003_(HY000):_Can't_connect_to_MySQL_server_on 1. 클라 측 filtered는 뭐지...? 텔넷도 안된다... etc 디렉터리가 없다..? 이건 전에 타임존 바꿀 때 rm etc 뭐시기 설마 그 부분 때문은 아니겠지? ....이 아니고 인바운드 규칙에서 아이디 하나 잘못해갖고 이렇게 된거였다... 이제 해결되었다... 대신 nmap 이란거 알게됐으니까 좋은걸거야...
에는 java.time 패키지의 LocalDate, LocalTime, LocalDateTime(날짜&시간 같이 필요한 경우)를 사용하자. timezone까지 다뤄야 하면 ZonedDateTime 클래스를 사용한다. 이 패키지에 속한 클래스들의 가장 큰 특징은 스트링 클래스처럼 immutable란 것이다. 그래서 날짜나 시간을 변경하는 메서드들은 기존의 객체를 변경하는 대신 항상 변경된 새로운 객체를 반환한다.기존 Calendar 클래스는 변경 가능하므로,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안전하지 못하다. 멀티 쓰레드 환경에선 동시에 여러 쓰레드가 같은 객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변경 가능한 객체는 데이터가 잘못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스레드에 안전하지 않다고 한다. 이 패키지는 JDK 1.8부터 도입된 것..

*본문은 경희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과목(2019년 상반기 수업)의 프로젝트 과제로 제출한 작품입니다. 교수님께서 우수 작품 중 하나로 선정해주셔서 종강하던 날 발표를 했던 바가 있습니다. 블로그에 올리기엔 스스로 너무 부끄럽다고 느끼는 수준의 프로젝트지만, 처음으로 어플을 개발해 본 경험이었던만큼 많은 정성을 쏟았기에 보고서 전문을 기재합니다. [Tongue Twister Game 개발] 1. 필요한 지식 공부 1) Flask-ask 요청 처리하는 법 사용자의 발언은 서버의 적절한 동작으로 매핑이 된다. 이 때, 알렉사는 이 말을 JSON 형태로 바꿔 어플로 전달한다. 또한, ‘슬롯’이라는 파라미터가 스킬 상에서 정의되어, 사용자가 말을 하면 항상 파싱되어 알렉사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