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더리움
- 이더리움 #ethereum
- code=0)
- hadoop safe mode leave
- mac hadoop
- Resources are low on NN
- 자소서 빨리
- 카카오 자물쇠와 열쇠
- 백준 18428
- Could not open client transport with JDBC Uri: jdbc:hive2://localhost:10000
- hive beeline 설정
- mac hadoop 3
- mac hadoop 설정
- 카카오 2020 코딩테스트
- 기업 조사 빨리 하는 법
- hive beeline 실행
- 도커 교과서
- Safe mode is ON
- 카카오 2020 코테
- 자소서 너무 오래 걸림
- hive beeline
-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10000
-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 hive (state=08S01
- mac hadoop 설치
- mac hive 3
- 자소서 시간 줄이기
- 자소서 빨리 쓰는 법
- hadoop safe mode
- mac hive
- hive beeline 에러
- Today
- Total
목록the way about me (8)
A seeker after truth

[빅픽쳐] 1. 잡코리아 합격 자소서를 읽어본다. 현재 내가 작성중인 자소서 문항들과 동일한 문항이 있는 경우, "아 대충 이런 느낌이구나" 하는 빅픽쳐를 얻을 수 있다. 2. 처음 봐서 어케 써야할지 감 안잡히는 문항이거나, 합격 자소서 자료가 부족한 경우 해피캠퍼스, 예스폼에서 찾아 읽어본다. 그리고 아래 잡플래닛에서 발간한 가 '어떻게 써야할지' 에 대한 핵심을 알기에 아주 괜찮다. https://www.jobplanet.co.kr/contents/news-590 [인재상 & 직무/부서 & 큰 그림으로 보는 회사 정보] 3. 잡플래닛 프리미엄 리뷰에서 '우리 회사에서 적응하기 좋은 스타일의 사람' 같은거 참고해서 작성한다. 어떤 스탈의 사람 뽑을지 감 잡을 수..
수은이 얼지 않는다고 굳게 믿었다. 언 것을 보았는데도 이리저리 다른 합리화를 하며 믿지 않았다. 하지만 진짜 얼었다. ->우리에게 낯익은 현상의 영역 그 너머로 나아갈 때에는 예기치 못한 것들이 일어날 수 있고 또 일어난다는 점이다. 제레미 벤담은 이 사례를 들며 믿고자 하는 우리의 의지가 어떻게 낯익음과 묶여 있는지를 설명했다. 온도 측정의 기준이었던 수은이 어는 것을 발견했다. 그럼 수은이 어는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는 어찌 측정해야 하나? ->일반화: 새로운 영역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거동이 더 낯익은 영역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우린 또한 익숙하고 신뢰받는 관찰 장비들이 그런 새로운 영역에서 제 기능을 못할 수도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그럼 새로운 영역의 현상에 대한 경험적 ..
1. 데이터 엔지니어링을 위한 오픈소스 튜토리얼 1) redash 카카오에서 실제로 어떻게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지 알려주고자 함. (여개모/ 카카오 선물하기 백엔드->데이터로 포지션 옮긴 5년차 개발자 분) redash? :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면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좋은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지원하는 데베/데이터소스 종류 가 매우 많음. -> 매우 막강한 오픈소스로 자리잡고 있음 회사 내에서 사용하기 큰 무리 없음. 파이썬으로 되어 있음. 커스터마이징 해서 쓰기도 함. 도커 기반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 클라우드 기반이나 컴포즈 기반 둘다 가능. 로컬로 설치해보고 괜찮으면 aws 연결하면 굳 md들이 전년도와 올해? 뭐 판매량 비교였나... 그 데이터를 시각화해서 보고싶어 했는데, 원래 그러려..
언어의 충격을 준 것은 일본어였다. 영어가 하도 익숙해서 문법을 영어처럼 생각하고, 외국어 하면 자연스럽게 영어를 연상하곤 했다. 우리나라말 역시 일본어에 있는 것이 많더라. 그래서 놀랬다. 영어란 규범에서 빠져나오면 언어를 공부할 때 굉장히 좋다. 예를 들면 단수, 복수 개념. 언어가 정말 다를 수 있었던… 중동태란 말을 이 때 처음 알게 됐… 인도/유럽 어족에만 능동 수동 구조가 있는게 아닐까 하는 추론을 해보았다. 태와 경어는 울나라 못따라감. 운다의 수동태가 울어진다… 엄마가 아이에게 울어진다 이런 말을 아주 일상적으로 쓴다고 한다. 또한 It is rained 비가 내려진다 이런 말을 한다는 것이다… 그럼 이건 무슨 뜻인가? – 애가 울어서 힘들어하는 상태라는 뜻. 비가 내려졌다는 말은 비가 옴..
1. 제가 당신을 뽑아야 할 이유가 뭔가요? 매니저 시니어 주니어가 팀의 구성 매니저 = 리더. 팀 구성. 업무 비율 재점검을 함. 너무 할 일이 많기 때문에 권환 위임 필요. 조직 전체를 움직이게 함. 시니어 = 나이 많거나 개발이 오래됐다해서 시니어는 아님. 스스로 개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함. 개발 커뮤니케이션 관리의 위임이 가능한 사람. 개발 역량이 안되면 시니어로 갈 수 없음. 관리나 플젝에 대한 관리를 함. 주니어 = 왜 뽑을까? 시니어가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뽑음. 시니어는 조직의 핵심인데,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함. 팀의 엔트로피를 낮추기 위해. 조직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딱딱해지고 지루해진다. 그리고 잘할까봐 뽑음. 그러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
[1 - 신입 개발자가 되려면 커뮤니티를 찾아보자!] 일단 개발을 업으로 할건지 취미로 할건지 그걸 생각해 볼 것 1. 개발자 하려면 어느 정도의 코딩 실력이 필요한가요? 2. 팀플 경험 없이 개인 플젝 경험만으로도 충분? 일반 언어로 개발 -> 컨테이너 -> 인공지능 데이터 클라우드 기반으로 개발. 클라우드 기반 개발은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언어는 초반에는 일단 하나만 잘하면 된다 Ex: 원래 자바였다가 닷넷으로 개발을 한다? – 회사에서 다시 교육을 시킨다. 하나만 제대로 하면 된단 뜻. 의미가 없다. 경험상. [2 – 초보가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 1. 프로그램 구상 너무 원대하다.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 수정 사항 겁나 많이 나온다. 최소 규모로 구상한 뒤 추가하고 싶은 사항은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