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adoop safe mode
- mac hadoop 설치
- Safe mode is ON
- mac hive
- 자소서 너무 오래 걸림
- hive beeline
-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 hive (state=08S01
- hive beeline 설정
- 도커 교과서
- 카카오 2020 코테
- hive beeline 에러
- 백준 18428
-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10000
- 카카오 자물쇠와 열쇠
- mac hive 3
- 이더리움 #ethereum
- mac hadoop 설정
- 자소서 빨리 쓰는 법
- Resources are low on NN
- mac hadoop
- code=0)
- Could not open client transport with JDBC Uri: jdbc:hive2://localhost:10000
- 자소서 빨리
- 자소서 시간 줄이기
- hive beeline 실행
- 이더리움
- 기업 조사 빨리 하는 법
- mac hadoop 3
- hadoop safe mode leave
- 카카오 2020 코딩테스트
- Today
- Total
목록Data/데엔 데브코스 TIL (21)
A seeker after truth

..? 여기서도 나온다. 아래와 같이 class Animal():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클래스 옆에 괄호 붙은 경우... 아마 이 내용이 있지 않을까?

1. Serilaizer serialize를 해 주기 위해서는 먼저 model의 column들 모두 serializers 작업을 해줘야 한다. 또한 시리얼라이저는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애들을 대상으로 한다. 유효성 검증 통과한 애들은 ordereddict 타입으로 주어진다(넘겨진다) from collections import OrderedDict 이거 오늘 첨 알았음... 오랜 파이썬 사용 인생에 참 부끄러운 부분이로군. 구현체가 뭔데? class _Link(object): __slots__ = 'prev', 'next', 'key', '__weakref__' class OrderedDict(dict): 'Dictionary that remembers insertion order' # An inherit..

16강. 뷰와 템플릿 개념은 이 링크에 정리 잘돼있다: https://soomers.tistory.com/28 뷰는 모델에서 불러온 정보를 활용한다. 아래와 같이 코드 작성 후 실행한 결과. {% for %}문이나 {% if %} 문으로 템플릿에서 제어문을 사용할수도 있다. 템플릿에서 역참조를 이용하여 object를 표현할 수 있는데, 템플릿 제어문을 사용할 때는 callable 형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 사진의 코드는 역참조 및 템플릿 제어문 not callable 작성 예시다. render()함수는 Django의 내장 함수 중 하나로, HTTP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에 대해 원하는 템플릿 파일을 렌더링하여 응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render() 함수는 보통 Django의 뷰(Vie..

몰랐던것, 키포인트 중심 메모 느낌으로 작성 1. 프로젝트 & 앱 시작 manage.py는 Django 프로젝트를Terminal에서 조작할 수 있는 명령을 제공. 하나의 프로젝트는 여러 개의 앱으로 구성. 프로그래머스 커뮤니티 사이트로 치면 여기서 홈 스쿨 커리어 커뮤니티 요렇게 각각이 앱이라고 보면 됨. 또 앱이 하나의 플젝에만 속할 수 있는 게 아님. 앱은 하나의 플젝이 아닌 다른 플젝, 다른 사이트에서도 돌아갈 수 있. 위와 같이 초이스에 대해 외래키를 만들면, 마이그레이션 시 자동으로 초이스의 아이디에 대해 인덱싱을 한다(=인덱스를 만든다) views & urls 간 매핑 후 GET 요청 성공 화면 기본 URL은 메인 폴더의 urls.py를 복사하여 app폴더안에 생성한다. 그리고 path를 통해..

기상청 사이트에서 기온 일부 갖고 오는 것 목표 저기서 아이디 값 활용하면 뭔가 할 수 있을 것 같이 생김 태그들 추출해 빈도 계산하면 사람들이 어떤 분야에 질문 젤 많이 하는지 알 수 있을 것. ul 태그 모두 찾은 뒤 이 안에 있는 li태그 내 text를 추출하려 함.

오른쪽처럼 class 마다 서로 다른 희한한 값 갖고 있는 이유? 요즘 무차별적 스크래핑 방지하고자 부러 저렇게 랜더마이즈 된 값을 클래스에 넣고 있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고 함. 위같은 경우 사이트 구조 따라 스크래핑 가능하게 해보자. 이 떄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XPath ! 위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보면 클래스 값은 바뀌지 않지만, 클래스 내 위치는 계속 동일. 개발자 도구를 확인해보면 저 로그인 탭으로 간다는 걸 알 수 있. 이 떄 클래스가 nav-link, nav-signin 2개가 있는데, 클래스를 2개 사용하므로써 이렇게 계층 구조 2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 스크래핑 시에는 이를 "nav-link.nav-signin" 이렇게 할 수 있. 그럼 이걸 어떻게 누르는가? 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