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 seeker after truth

컴네 2주차 필기 본문

수업 필기/컴퓨터 네트워크(19-1)

컴네 2주차 필기

dr.meteor 2019. 10. 11. 01:30

2개 기술 비교하라는 시험문제 나온다.

전자레인지를 키면 블루투스가 먼저 죽고 와이파이가 다음으로 죽는다.

용어 사용할 때 sender receiver : 사람 아니고 기계라는 점 주의하기.

프로토콜: 약속된 절차, 행동. 통신 및 군사 용어로 많이 나온다.

1byte 보낼 떈 mst부터 보낸다, 2byte 보낼 땐 8진..?법인지 뭔지 이런거 따지고…. 그렇다.

2byte                                     little/big endian

C,c++을 만든 회사가 atmt?라는 통신 회사가 만든 것.

Simplex와 duplex…?는 라디오 방송의 기본이다. 일방적으로 보내는 것이니까. Broadcast 라고 일컬어지며, 일방적으로 모두가 들으라고 하는 것.

Full duplex는 전화 같은 것. 그리고 게임처럼 서로 결과를 주고 받는 경우,

Half duplex는 워키터키라는 군사 장비 같은 것에 쓰이는….아직도 많이 쓰는 방식. 공사장에서도 많이 쓰고, 울나라보단 해외에서 많이 쓴다

점 여러 개에 하나씩 붙었다고 해서….multipoint

Point to point 는 ptop라 줄여 부른다. 토렌트 같은 불법 다운로드 방식은 peer to peer방식이라고 한다. Peer to peer는 서비스를 일컬으며, 전자는 통신에서의 ‘줄’에 대한 것.

Mesh: 그물, bus: 한 줄

● Mesh

-      장점: 보안 좋고, robust(d안정), 한 줄이 부서져도 우회하여 모든 기기가 통신 가능. 즉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단점: 줄 자체의 비용보다는 이것을 설치하는 매설 비용이 훨씬 비싸다.

-      트레픽을 워낙 많이 만들기 때문에 … 어떻다고?

● Star

-      줄의 개수가 줄어든다. 싸다. 그러나 hub가 고장나면….안됨. 이를 대비해 “이중화”라는 것을 한다. 돈이 없는 학교 같은 데서는 잘 못한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소 같은 경우에는 이게 가장 치명적. 후쿠시마 원전 같은 경우에는 3중화까지 한다는 것. 3개가 다 죽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게 허브의 개수를 말하는 건가봐. 요즘 같은 경우엔 넷플릭스 같은 것 때문에 데이터 전송량이 너무 많아서 기존 네트워크는 버벅거릴 수 밖에 없다. 일반 건물, 오피스 같은 곳에서 쓰는 대표적인 방식.

Bus

-      전송 커넥터를 연결하지, 피복을 벗겨서 연결하는 것이 아님.

-      설치를 잘못해서 커넥터가 빠지면 …

-      케이블 티비 방송사에서 가장 많이 썼던 방식. 그러나 광랜을 이기지 못해서 이제는… 거의 안 쓰는. 주고 받는 트래픽 양은 그렇게까지 많은 것은 아님. 광고판 같은 걸로는 쓴다. Datarate가 그렇게 높지 않아도 된다. 특히 군부대의 경우는 정말로 그렇다. 단점은, 커넥터를 뺴면 문제가 된다는 점.

●  Ring

-      버스의 끝과 끝을 연결한 구조. Sw요소가 가미된다(누가쏘면 누가 받고… 식의 방식.)

-      Full duplex 구현 어렵

-      원거리의 경우에는 이 방식 혹은 스타 구조를 고민할 수 있는데, 이 구조가 조금 더 싸다.

1,2nd는 중앙으로 트래픽이 많이 모이는 방식에서 많이 쓰고,

 

 

<categories of network>

1)    Lan(앞에 w가 붙으면 wireless, 즉 무선이란 의미가 된다)

-      Wireless는 통신 출력 상 제한이 되어 있다. 무선랜은 통상 50m 언덕.

-      줄을 빌린 다음에, 음성학 기술을 집약하고 퍼부어서, 보낼 수 있는 건수를 늘린… 이렇게 사용자를 늘리는 방식으로 돈을 벌고, 이게 국제 전화.

2)    Metropolitan : 도시의 한 ‘구’ 정도. Lan은 이것보다 작은 것(대학 건물 하나, 층 하나, 방 하나…)

3)    Wide: 서울시&부산시를 연결하는 정도. 주로 ‘주’를 연결. 일본과 한국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 이런 것도 그런 것.

 

<standards>

3gpp,

무선랜 기순의 표준: IEEE 802.11는 WLAN의 표준.

Wifi는 기술명이 아니고, 그 기술을 지원하는 단체의 이름이다.

안드로이드는 원래 커널의 이름인데, 이를 certificate받으려면… 스티커를 받으려면…. 구글..뭐 어쨰?

중국 제품은 웬만하면 안드로이드 cer~를 내주지 않음. 그래서 결국 지들이 직접 생산해야만 하는…

Iptime: 이게 유선 기술…? 희한하네 뭔 기술인가봐…? 브로드콤칩이라는 것이 내장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핸드폰과 이동통신 장비(기지국)만 국산 경쟁력이 있는…

Standard의 경우에는 어…윈도우를 주로 쓴다.

학교 등의 일반적인 경우는 모두 윈도우를 쓴다.

 

 

 

<MAC> 주어진 medium에 control을 보내기 위한 access…?

주어진 줄에서 메시지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 배우는 것.

1)    Random access protocol: access

-      할 때 접근 룰이 없음.

-      데이터 쏠 거면 걍 쏘면 된다.

(1)   ALOHA

-      무선 LAN 네트워크의 효시

-      하와이 섬들 간의 통신을 이어주기 위해 이러한 방법 고안

-      통신량이 적어서 잘 썼었긴 함. 원래 의미 있는 일을 할 땐 데이터량이 적다.

-      문제는 충돌이 야기됨. 많이 쏘기 시작하면서…

Tp는 왕복해서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는 시간을 의미함

Ack가 오지 않으면, 오는 놈이 충돌해서 없어졌거나,? 했거나…

일정 시간만큼 반복하면 포기함.

-      요즘 무선랜은 에러 때문에 통신하다 안되면 포기하는 속성을 가짐.

-      발전된 알로하가 slotted aloha

: slot 하나에서 메시지를 완료해야 한다.

-      통신 시스템은 버그를 없애려고 하는 것이 아닌, 줄이려고 한다.

버그는 항상 있다. 다만 이것이 치명적 or not을 따질 뿐….

*제록스: 복사기 회사. 이전에는 컴터 회사인데. 과거에 책을 찍어내는 일을 하는 컴터!

근거리의 비싼 컴끼리 연결하고, ehternet이란 유선 통신 기술 만들어냄. 이건 너무 완벽해서 별로 수정할 게 없음, 그래서 이것에 이름을 붙여서 표준으로 만든 것이 csma

 

2)    CSMA

-      Carrier는… 전기를 끌어올리는…?

-      누군가 이 줄에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가 아닌가?를 알아보는 기술.

-      누가 통화 같은 거 하는지 들어보고, 안 들리면 기다리자는 주의. 그러면서 에러를 줄임

-      쏘면서 듣는 것은 아직도 어려운 기술. 노이즈가 너무 많기 때문.

-      그러나, 미처 듣기 전에 쏘기 시작하면, 그 뒤의 에러는 감당이 안됐.

-      CSMA/CD는 충돌을 감지할 수 있다.

-      충돌을 감지한 순간 전송을 멈춘다.(=abort) 줄을 낭비하는 시간을 줄임

-      우리가 주로 쓰는 유무선 굥유기, 광랜의 기본 모드로 동작함.

-      Jamming 시그널: 모두에게 에러가 났다고 경고하는 것.

-      근거리에 있는 컴퓨터를 연결하는….

-      소프트웨어적 요소가 가미가 되어 단계가 복잡.

 CSMA, ALOHA는 그냥 데이터만 보내는데, CSMA/CA는 특이하게 모두에게 내가 데이터를 전송하겠다는 메시지를 사전에 보낸다. 그 때 다른 장치들은 전송을 멈춘다.

Request to send= rts: 전파받는 주변의 모든 컴퓨터는 이걸 들을 수 있다.

나머지 장비들은 cts가 나오기 전까지 조용해지는. (clear to access)

그러나 A가 준 주파수는 B보다 먼 애들한테는 전송이 안됨 그래서 B가 소리질러서 C,D에게도 내가 전송 받는 다는 사실을 알린다. 근데 이게 비단 거리 때문이 아니고, 특별히 통신이 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벽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통신 효율이 0에 가까워진다.

음성전화, 영상전화는 사용이 어렵다.

무선랜 전화기 대표 예가 070 lg uplus. 회사에서 A와 B 사이에 끊임없이 뭔가를 주고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무선랜은 별로 좋지 않은 방식이 될 수 있다.

 

<controlled access protocols>: 통제자의 관리 하에 동작.

기본 방식은 똑똑한 놈이 하나 있어서 얘에 의해 전체 통신이 작동됨

<polling>

운체 스케줄링 개념…에서 등장. 또똑한 애가 뭐 받을 게 있을 때 보내는 메시지가 폴이고, 유무선 모두 많이 쓰는 기술이고, 프라이머리…가 죽을수도 있는데 어떻게 죽을 일이 없다고?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법.

<LORA WAN>

수많은 ?가 존재한다. Medium access control 등등의 …. 방식에서 많이 쓴다.

피지컬 링:1~4가 돌아가면서 보내는 방식. 그러나 긴급한 상황에서는 에러가 생길 수 있음.

GPS는 위성이 있을 떄 동작하기 떄문에,

*건물 안의 로봇들이 서로 동시에 움직이려면?.... 이더넷 꽃는 순간 통신과 전화가 모두 해결됨. GPS신호를 통해 이에 상응하는 뭐…를 할수도 있… 음 예전엔 통신을 통해 동기화하는 것이 아닌 로봇 간 통신하는 것이 더 중요.

 

<채널 프로토콜>

채널을 나누는 개념. Logical한 것을 주게 하는. 주파수가 어떠면 다른애들은 피해를 보지 않…는다는데…채널을 받기 위해 랜덤 어세스 하는 과정이 있다.

FDMA는 시간 단위 과금. 1세대 전화기는 아날로그였음, 그냥 프리퀀시에 음성을 변조해서 태운 것이었음.

어떻게 하면 한정된 주파수 안에 여러 명의 ?를 녹여 낼 수 있는가…

사람의 듣지 못하는 것은 모두 날려버리고… 말을 안할 때는 full rate, 지워버리고, 그리고 뭐…4,3,2,1…. 이게 뭐자? 줄여 나간다?

원래 아날로그…

노키아 탄생 배경이 바로 TDMA.

타임 단위로 동작을 받아야 하기 떄문에 압축하는 기법이 발달함.

이동통신 측면에서 돈욕심이 나기 시작하자, 퀄콤 창업자가 특이한 기술을 만듦.

아예 필요한 경우엔, 자연 신호를 만들지만, 그게 아닌 경우에는 만들지 않는….

이런 기술을 군에서 찾아냈는데, spread spectrum 기술을 찾아내고 만들었고, 이것의 상용화 버전이 CDMA 기술이다.

각각의 스테이션들은 다 코드가 있다. 4명의 orthogonal code는, 코드가 동일한 것끼리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같은 위치의 숫자를 서로 곱한 다음에 총 더하면 0이 된다나…

보낼 것이 없을 떈 신호 자체를 생성하지 않기 위해 0으로 한다.

주파수가 관건이라서, 이제는 4세대 이동통신부터는 아무리 노력해도 증가하지 않는단 것을 증명해내서…

Datarate가 늘고 t사용자 수가 늘수록, 기기는 감당을 채 못함. 5MHZ의 기술이 드디어 상용화가 되는… 이게 세계 최초 3세대 이동통신 시작. 이게 울나라가 폰 수출 1위가 된 결정적 계기인 것. WCDMA가 등장하면서 미국 및 유럽으로 통신 기술의 핵심이 옮아감

4세대 이동통신은 OFDMA라는 방식. O는 orthogonal.: 주파수가 서로 드문 드문 있어도 그걸 하나로 묶을 수 있게 되었으며, CDMA와 FDMA 2개를 묶어서 사용하게 된.

5세대 이동통신은 어케 보면 최악의 기술. 직진성…을 가지는… 위로 올라갈수록 직진성… 클수록 뭐? 굴절과 회절에 의해 통신을 할 수 있으면… 건물 뒤로 살짝 들어가게 되면….

 

0과 1을 실어나르는 유선에 메시지를 나르는 것인데, 이것을 어떻게 보내는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

시험은 FDMA 채널라이징 방법 3개 기술하고 동작 원리와 기술을 기술하시오

또는 수업 2번째 날에 들었던 기술을 모두 활용하여 이 제안서를 제출한 사람의 플젝은 ~이 되어야 하는….. 이런 것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수업 필기 > 컴퓨터 네트워크(19-1)'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주차 필기  (0) 2019.10.11
6주차 필기  (0) 2019.10.11
5주차 필기  (0) 2019.10.11
4주차 필기  (0) 2019.10.11
3주차 필기  (0) 2019.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