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소서 시간 줄이기
- Safe mode is ON
- mac hive
- hive beeline
- 카카오 자물쇠와 열쇠
- 카카오 2020 코테
- hive beeline 실행
- 도커 교과서
- Resources are low on NN
-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10000
- hadoop safe mode
- 기업 조사 빨리 하는 법
- hadoop safe mode leave
- mac hadoop
- 자소서 빨리 쓰는 법
- 백준 18428
- 자소서 너무 오래 걸림
- mac hadoop 설치
- hive beeline 설정
-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 hive (state=08S01
- Could not open client transport with JDBC Uri: jdbc:hive2://localhost:10000
- 자소서 빨리
- mac hadoop 설정
- mac hive 3
- 카카오 2020 코딩테스트
- mac hadoop 3
- 이더리움
- 이더리움 #ethereum
- hive beeline 에러
- code=0)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Language (49)
A seeker after truth
*본문은 (염재현 저, 한빛미디어 2016)의 5장, 6장을 공부한 뒤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조체는 자료들의 묶음, 인터페이스는 메서드들의 묶음. 즉, 인터페이스는 의미상으론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함. 인터페이스의 대표적인 예가 io.Reader, io.Writer(입출력 인터~). io.Reader는 Read 메서드를 정의하는 자료형들을 받을 수 있다(Read 메서드가 io.Reader 인터페이스 안에 속한 메서드 중 하나여서. 근데 "메서드를 정의하는 '자료형'"...? 이 부분이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음). 그 예로 File은 Read 메서드가 있으므로 io.Reader가 될 수 있다. 의미상으론 '읽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인터페이스 이름을 붙일 땐 주로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이름에 ..

*본문은 (http://golang.site/go/basics) 사이트를 참고하여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Tip 위주로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보탬 내용은 (염재현 저, 한빛미디어, 2016)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5. 구조체 struct go의 구조체는 custom data type을 표현하며, 필드 데이터만 가진다!!! 메서드 없다! go는 oop를 고유의 방식으로 지원한다. 무슨 말이냐, go에는 전통적인 oop 언어가 갖는 클래스, 객체, 상속 개념이 없다. 전통적인 oop의 클래스는 go 언어에서 custom 타입을 정의하는 struct로 대응된다. 전통적인 oop 클래스가 필드와 메서드를 함께 갖는 것과 달리 고의 구조체는 필드만 가지며, 메서드는 별도로 분리하여 정의한다. typ..

*본문은 (http://golang.site/go/basics) 사이트를 참고하여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Tip 위주로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보탬 내용은 (염재현 저, 한빛미디어, 2016)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1.클로저 closure 함수 바깥에 있는 변수를 참조하는 함수'값'을 클로저라 일컫는데, 이때 함수는 바깥의 변수를 마치 함수 안으로 끌어들인 듯이 그 변수를 읽거나 쓸 수 있게 된다. 아래 예제에서 nextValue()함수는 int를 리턴하는 익명함수(func() int)를 리턴하는 함수이다. 이 익명함수는 함수 바깥의 변수 i를 참조하고 있다. 즉 i를 로컬변수로 갖는 것이 아니다. 이 경우 i값이 변경 가능하다는 것! func nextValue() func() int { i..

*본문은 (http://golang.site/go/basics) 사이트를 참고하여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Tip 위주로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보탬 내용은 (염재현 저, 한빛미디어, 2016)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8. 반복문 //for문은 다른 언어와 같은 형식을 쓴다. //단, for(~~~~) 이렇게 괄호를 이용하면 에러! sum := 0 for i:=1; i

*본문은 (http://golang.site/go/basics) 사이트를 참고하여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Tip 위주로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보탬 내용은 (염재현 저, 한빛미디어, 2016)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변수 var a, b, c, d int = 1, 2, 3 var f float32 = 11. // 초기값할당 d = 10 단, 선언된 변수가 쓰이지 않으면 에러 변수 선언하면서 초기값 할당 안하면 0 value 할당. 0, false, "" 등 var e = 1 // 타입 알아서 해줌 g := 1 // var 생략하고 사용.함수 내이서만 사용가능하고, 밖에선 var를 사용해야! 2. 상수 const c int = 10 // 아래는 여러 개의 상수를 묶어 지정하는 방법 const..
*본문은 (염재현 저, 한빛미디어 2016)의 5장, 6장을 공부한 뒤 정리한 내용입니다. 1. 개념 1) 정의 직렬화(Serialization): 객체의 상태를 보관이나 전송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것 역직렬화(Deserialization): 보관되거나 전송받은 것을 다시 객체로 복원하는 것 2) 용도 -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불러오기 기능을 구현하고자 할 때 -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려고 할 때 - RPC(Remote Procedure Call) - 원격 프로시저 호출 같이 다른 기계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보내서 원하는 일을 시킬 때에도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2.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pass 3. 본격적인 직렬화와 역직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