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ac hive
- 이더리움 #ethereum
- 자소서 시간 줄이기
- hadoop safe mode
- 카카오 2020 코딩테스트
- 이더리움
- Safe mode is ON
- 기업 조사 빨리 하는 법
- hive beeline 실행
- 자소서 빨리 쓰는 법
- 카카오 2020 코테
- 백준 18428
-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10000
- is not allowed to impersonate hive (state=08S01
- 자소서 빨리
- mac hive 3
- mac hadoop 3
- hive beeline 설정
- mac hadoop 설정
- mac hadoop
- mac hadoop 설치
- code=0)
- Resources are low on NN
- 도커 교과서
- 카카오 자물쇠와 열쇠
- hive beeline
- hive beeline 에러
- 자소서 너무 오래 걸림
- Could not open client transport with JDBC Uri: jdbc:hive2://localhost:10000
- hadoop safe mode leave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45)
A seeker after truth
빈출 문제를 반복 학습하자. 그런 문제를 하나 정하면 되는데 이코테 책 실전 문제에 나온 예제보다 좀더 어려운 백준 문제 정도 수준이면 된다 -: 못푼 문제 / 못풀고 답지 본 문제 *[bfs dfs 문제 구분] https://haams704.tistory.com/75 https://foameraserblue.tistory.com/188?category=481823 - ⭐️⭐️⭐️리트코드 2115: https://leetcode.com/problems/find-all-possible-recipes-from-given-supplies/ 난 이 문제로 적잖은 충격을 먹었음... 이런 문제가 바로 dfs/bfs 구나... 사실 대다수 사람들이 이걸 위상 정렬로 풀었음. 근데 난 그거 모르니까 일단 그 풀이는 ..
리트코드 2109: https://leetcode.com/problems/adding-spaces-to-a-string/ 이거 에디터에서 내 풀이 보면 join, concatenation 등을 사용해 푼 걸 볼 수 있다. 근데 이런건 당근 연산 시간 오래걸리는거 알고있고, 사실 슬라이싱도 되게 오래걸리는 연산이라... 결론적으로 모든 연산이 다 오래걸리는 연산인데다, 이미 엄청난 크기의 탐색 사이즈를 갖고있기까지 해서 이 중 필수 요소를 정했다. for 문 한 번 이상, 그리고 슬라이싱이었다. 그리고 s라는 객체를 변경해가는 것보다, 새로운 문자열을 만드는 즉 문자열 객체를 두 개 쓰는 형태가 더 연산이 덜 걸릴 것 같았다
리트코드 2110: https://leetcode.com/problems/number-of-smooth-descent-periods-of-a-stock이 문제 나도 잘풀었다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 풀이 (dp) 보니까 뭐 끝장이네. 그 경우 이 아이의 분류는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여 카카오 2021 공채 2번 한 인덱스 뒤쪽으로 모든 경우의 수 구하는 등....의 문제. ⭐️2805(이진탐색): 예전에도 잘 이해가 안됐던 문제. 이번엔 풀었는데 계속 틀리던 와중에 https://www.acmicpc.net/blog/view/109 이 자료 보고 공부해서 뼈이해는 안되지만 일단 카피함. 꼭 다시 공부하기... - 2531 https://www.acmicpc.net/problem/2531거의 맞췄는데, de..

리트코드 2243: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289/problems/calculate-digit-sum-of-a-string/그냥 구현 문제다. 2243_1 풀이 보셈. 더 숏코드인데 바보같다 왜 이생각을 못했을까.. - 리트코드 2245: https://leetcode.com/problems/maximum-trailing-zeros-in-a-cornered-path/solutions/1955607/python-explanation-with-pictures-prefix-sum/구현. prefix-sum 이란 개념을 알고 써먹어야하며, 걍 어려움 사실 아직도 이해 못해서 강의도 듣고 그랬는데도 아직도 모름시간 지나서 보니 훨씬 이해 잘됨 카카오 20..
코템보단 대회에서 더많이본것같은데, 1182. 카카오 2020 기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8와 진짜 재귀로선 난이도 너무 극악이었음 내겐... 겨우 풀었다 한 3일 소요? 여태 풀어봤던 재귀 중 가장 헷갈리고 별 희한한 재귀 다 들어간다고 생각한 아이임수도코드 설명 부분이 뭔말인지 못알아먹겠고 지금도 사실 완전힌 몰겠어서 이해못한채 그냥 써있는 대로 코딩하는 능력을 기르는 문제였음다행히 맞았고... 평소 풀던 스탈대로 풀었다만 최고 투표수 풀이(폴더엔 4_1로 복붙저장)는 solution 함수를 재귀하는 방식을 이용했고 나의 더티 코드를 이렇게 바꾸면 되겠구나 하고 학습하면 된다.*유사문제: 리트코드 2116(자료구조란에 회고..
[종만북 내용 메모] 6.7장에서 단순 완전 탐색 말고, 이를테면 n개의 사과 중 r개를 그냥 선택하는거 말고, 무게가 최소화 되도록 선택한다던지 이런 걸 "최적화 문제"라고 한다. 현대 계열 코테에서 볼 것 같은 문제. 자동차 디자인 등등 각종 공학에 최적화 문제 아주 빈번하게 등장. 대표적 예가 외판원 문제. 어떤 (최적화 혹은 그냥) 문제를 완탐으로 접근할 때 해야 할 첫번째 일은 시간 안에 답을 구할 수 있을지 확인하는 것 1107 리모컨 이건 그럭저럭 익숙해지긴 했으나... 아 여기에 나동빈 책에서 본것도 싣고... 카카오 2020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9?language=python3 처음엔 하도 어려워서 벙쪘다...